한국의 유네스코 등재유산

산림녹화기록물(2025년)

중앙정부는 산림녹화를 추진하며 조직개편, 법규제정, 치산녹화계획 수립 및 집행, 사방사업, 화전정리 사업 등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각종 기록물을 생산하였다. 지방정부 역시 지역별 조림사업을 실행하며 기록물을 남겼고, 민간에서는 산림조합과 산림계를 결성하여 정부와 협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록물을 생산하였다. 이러한 기록물들은 각 사업마다 독특한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대규모 사방사업’, ‘화전정리사업’, ‘산림계의 자발적 연료림 조성’에 관한 기록물은 다른 국가에서 찾아보기 힘든 희귀성을 가지고 있다.

산림녹화기록물은 정부와 민간의 협력적인 거버넌스를 통해 성과를 거둔 모범 사례로, 개발도상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 또는 산림 ODA 사업 등 다양한 국제협력사업에 활용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기후변화 대응, 사막화 방지, 산림생태계 복원 등 인류가 처한 기후변화 및 다양한 환경 문제에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산림녹화기록물은 기록물의 세계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2025년 4월 프랑스에서 열린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최종 등재 결정되었다.

산림녹화기록물(2025년)

산림녹화기록물(1973~1977년 영일만 복구사진) <사진출처 : 산림청>

이용가이드 이미지1-방문인증 가능한 문화유산 찾기
이용가이드 이미지2-방문인증 가능한 문화유산 찾기 결과
이용가이드 이미지3-문화유산 방문 인증하기 첫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4-문화유산 방문 인증하기 두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5-문화유산 방문후기 작성
이용가이드 이미지6-문화유산 일괄 방문인증 첫번째
이용가이드 이미지7-문화유산 일괄 방문인증 두번째